로쿠조 덴노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전승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조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파일:일본 상황기.svg
상황
[ 펼치기 · 접기 ]

아스카 시대
제35대
제41대
제43대
나라 시대
제44대
제45대
헤이안 시대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제72대
인세이
제74대
인세이
제75대
인세이
제77대
인세이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가마쿠라 시대
제82대
인세이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제86대
인세이
제88대
인세이
제89대
인세이
제90대
인세이
제91대
인세이
제92대
인세이
제93대
인세이
제95대
남조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제99대
북조
북조 초대
인세이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
인세이
추존
제102대
인세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
추존
에도 시대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제109대
제111대
제112대
인세이
제113대
인세이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현대
제125대






일본 제79대 천황
로쿠조 덴노
六条天皇
출생1164년 12월 28일
사망1176년 8월 23일 (향년 11세)
재위기간제79대 천황
1165년 8월 3일 ~ 1168년 4월 9일
[ 펼치기 · 접기 ]

(のぶ(ひと(노부히토, 순인)
부모부황 니조 덴노
모친 이키노무네토오노무스메(伊岐致遠女)[1]
연호닌난(仁安) (1166~1168)

[1] 생모의 신분이 낮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니조 덴노의 계후인 후지와라노 무네코를 모후로 칭했다.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일본의 제79대 천황으로 니조 덴노의 장남이었다. 일본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에 즉위한 천황이었다.

2. 생애[편집]


태어난 이듬해에 친왕이 되었고, 당일에 아버지 니조 덴노로부터 양위를 받아서 겨우 2세(만 7개월 11일)의 나이로 천황에 즉위했다. 니조 덴노의 건강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 모든 절차가 급박하게 이루어진 것이었다.

하지만 어린 나이에 즉위했던 만큼 정사를 돌볼 수 없었기에 후지와라노 타다미치(藤原忠通)의 아들인 고노에 모토자네(近衛基実)가 섭정(셋쇼)을 했다. 여기에 더해 퇴위한 니조 상황이 자신이 직접 정치에 개입하기 위해 고시라카와 상황의 인세이(원정)에 제동을 걸면서 고시라카와의 권력욕을 억제했다.

그러나 정작 니조 상황이 젊은 나이에 붕어하자 헤이지의 난 이후, 그의 친정에 짓눌려 힘을 잃었던 고시라카와 상황이 다시 권력을 찾고자 했는데 이때 고시라카와 상황은 한때 자신의 정적이었던 타이라노 키요모리[1]와 손을 잡고 자신의 황자인 노리히토 친왕(다카쿠라 덴노)을 황태자에 책봉한 후, 로쿠조 덴노로 하여금 양위를 하도록 했다.

조카가 삼촌에게 양위하고 상황으로 물러나는 이상한 모양새였지만, 로쿠조 덴노로서는 니조 상황의 급사 이후 자신의 편이 전혀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손쓸 방법이 없었다.

상황으로 물러난 뒤인 1176년 8월 23일, 이질의 종류인 '적리'라는 병에 걸려 불과 13세로 붕어했다. 어린 나이였기에 후사가 없었으며 배우자도 없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2:40:26에 나무위키 로쿠조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키요모리 역시 자신과 정치적 동맹 관계였던 니조 상황의 죽음 이후, 자리를 지키기 위해 새로운 연줄을 필요로 했는데, 이덕분에 고시라카와 상황과 키요모리 양자간의 이해가 일치하게 되었다.